각 환경( 스테이징, 프로덕션 .. )의 인프라는 거의 동일하지만 미세한 차이가 있는 정도⇒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넣기⇒ HCL에서 중복되는 코드를 모듈로 만들어서 여러 위치에서 재사용( 범용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동일한 코드를 함수내부에 배치하여 재사용하는 개념과 유사 ) 코드 이전작업없이 모듈을 참조하여 동일한 코드환경을 가지게 됨( 재사용성 ) ⇒ 모듈이란 여러환경에서 동일한 인프라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 기능 디렉토리별로 모듈을 만든다고 생각함( services/web-cluster, services/data-store 등 )root 모듈 : terraform apply 명령을 수행하는 위치, 직접 적용을 실행하는 모듈other 모듈 : 테라폼 구성파일세트, 루트 모듈 안에서 module..